해월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綠)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해월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綠)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253) N
    • ★ 해월유록 본문 (55)
    • ★ 해월유록 요점 (438) N
    • ★ 해월유록 서문 (4)
    • ★ 해월 황여일선생의 연보(年譜) (1)
    • ★ 해월유록 앨범 (70)
    • ★ 헤월유록 YouTube (17)
    • ★ 해월선생의 시문 (183)
    • ★ 격암유록 (62)
    • ▲ 비결 원문 (92)
    • ▲ 증산상제님의 핵심 (7)
    • ■ 대순전경 (大巡典經) (26)
    • ■ 동곡비서 (銅谷秘書) (2)
    • ■ 동학가사 (83)
    • ■ 삼역대경 (三易大經) (34)
    • ■ 선정원경 (仙政圓經) (1)
    • ■ 옥산진첩 (玉山眞帖) (2)
    • ■ 용화전경 (龍華典經) (1)
    • ■ 정감록 감결 (鑑訣) (1)
    • ■ 주역 (周易) (10)
    • ■ 중화경 (中和經) (88)
    • ■ 증산천사공사기 (17)
    • ■ 천지개벽경 (17)
    • ■ 최고운결(崔孤雲訣) (1)
    • ■ 하나님 말씀 (4)
    • ● 동영상 (18)
    • ● 우리들의 이야기 (4)
    • ■ 자료실 (4)
    • ● 한 줄 메모장 (0)
    • 식단관리 (6)
홈태그방명록
  • ★ 해월유록 본문 55
  • ★ 해월유록 요점 438 N
  • ★ 해월유록 서문 4
  • ★ 해월 황여일선생의 연보(年譜) 1
  • ★ 해월유록 앨범 70
  • ★ 헤월유록 YouTube 17
  • ★ 해월선생의 시문 183
  • ★ 격암유록 62
  • ▲ 비결 원문 92
  • ▲ 증산상제님의 핵심 7
  • ■ 대순전경 (大巡典經) 26
  • ■ 동곡비서 (銅谷秘書) 2
  • ■ 동학가사 83
  • ■ 삼역대경 (三易大經) 34
  • ■ 선정원경 (仙政圓經) 1
  • ■ 옥산진첩 (玉山眞帖) 2
  • ■ 용화전경 (龍華典經) 1
  • ■ 정감록 감결 (鑑訣) 1
  • ■ 주역 (周易) 10
  • ■ 중화경 (中和經) 88
  • ■ 증산천사공사기 17
  • ■ 천지개벽경 17
  • ■ 최고운결(崔孤雲訣) 1
  • ■ 하나님 말씀 4
  • ● 동영상 18
  • ● 우리들의 이야기 4
  • ■ 자료실 4
  • ● 한 줄 메모장 0
  • 식단관리 6

검색 레이어

해월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綠)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 해월유록 앨범

  • 봉황

    2020.07.14 by 雪中梅

  • 좌의정를 지낸 오창(梧窓) 박동량(朴東亮) 선생의 해월종택 해월헌(海月軒)의 현판 : 차 해월헌 운(次 海月軒 韻)

    2020.07.14 by 雪中梅

  • 해월(海月)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울진 격암 남사고 선생 유적지의 수남정사(水南精舍) 시판(詩版)

    2020.07.14 by 雪中梅

  • 대해(大海) 황응청(黃應淸)선생의 해월종택 해월헌(海月軒)의 현판

    2020.07.13 by 雪中梅

  • 해월(海月)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경북 울진 백암온천 앞에 있는 시비(詩碑) : 제 뱩암성(題 白巖城)

    2020.07.13 by 雪中梅

  • 규오 (葵烏 ) 유인길(柳寅吉)선생의 해월종택 해월헌(海月軒)의 현판 : 차해월헌운(次海月軒韻)

    2020.07.13 by 雪中梅

  • 해월(海月)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친필 은사일록(銀槎日錄)

    2020.07.13 by 雪中梅

  • 다산(茶山) 목대흠 (睦大欽)선생의 해월종택 해월헌(海月軒)의 현판 : 차봉판상운(次奉板上韻)

    2020.07.13 by 雪中梅

봉황

★ 해월유록 앨범 2020. 7. 14. 05:28

좌의정를 지낸 오창(梧窓) 박동량(朴東亮) 선생의 해월종택 해월헌(海月軒)의 현판 : 차 해월헌 운(次 海月軒 韻)

좌의정를 지낸 오창(梧窓) 박동량(朴東亮) 선생의 해월종택 해월헌(海月軒)의 현판 차 해월헌 운(次 海月軒 韻) http://blog.naver.com/mjwon35 (해월 황여일의 예언 / 네이버 블로그) http://cafe.daum.net/dkdehd63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錄) http://cafe.daum.net/guriever. 해월(海月)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錄) ◈ 오창(梧窓) 박동량(朴東亮 1569년 ∼ 1635년) 선생은, 〔 ※ 조선의 문신. 자는 자룡(子龍), 호는 오창(梧窓), 1596년 이조참판(吏曹 參判)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도승지(都承旨)를 지내고.1604년 호성공신(扈聖功臣) 2등으로 금계군(錦溪君)에 봉해지고, 호조판서(戶曹..

★ 해월유록 앨범 2020. 7. 14. 05:24

해월(海月)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울진 격암 남사고 선생 유적지의 수남정사(水南精舍) 시판(詩版)

해월(海月)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격암 남사고 선생 유적지 수남정사(水南精舍) 시판(詩版) 유억 남격암(有憶 南格菴 ) 격암선생을 생각하며 http://blog.naver.com/mjwon35 (해월 황여일의 예언 / 네이버 블로그) http://cafe.daum.net/dkdehd63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錄) http://cafe.daum.net/guriever. 해월(海月)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錄) 해월(海月) 황여일(黃 汝一)선생이 격암(格菴)선생을 생각하며 쓴 시 有憶南格菴 海月 黃汝一 吾年十四至十八 내 나이 열넷 열여덟에 이르러서야 慣見仙鄕長者風 선향(仙鄕)에서 덕망 높은 격암을 볼 수 있었지 月窟天根探獨樂 천근월굴(天根月窟)을 혼자 탐상하고 龜圖馬易玩尤工 ..

★ 해월유록 앨범 2020. 7. 14. 05:19

대해(大海) 황응청(黃應淸)선생의 해월종택 해월헌(海月軒)의 현판

대해(大海) 황응청(黃應淸)선생의 해월종택 해월헌(海月軒)의 현판 정명리(正明里)의 명계서원(明溪書院) 현판과 전경 울진 정명리의 대해(大海) 황응청(黃應淸)과 해월(海月) 황여일(黃如一)의 위패를 모신 명계(明溪)서원 ❏소 재 지: 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 정명리(正明里) 81 ❏배향인물: 황응청(黃應淸) 황여일(黃汝一) ❏창건연도: 1671년(현종 12) ❏향 사 일: 2월 중정(中丁) 연 혁 1671년(현종 12)에 지방 유림의 공의로 대해(大海) 황응청(黃應淸)과 해월(海月) 황여일(黃如一)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하여 창건하였다.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었다가, 1881년(고종 18)에 서원 유지(遺址)에 강학소를 세우고 향촌의 교육을 담당했다. 1982년에 지방..

★ 해월유록 앨범 2020. 7. 13. 22:04

해월(海月)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경북 울진 백암온천 앞에 있는 시비(詩碑) : 제 뱩암성(題 白巖城)

해월(海月)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경북 울진 백암온천 앞에 있는 시비(詩碑) 제 백암성(題 白巖城) 해월(海月) 황여일(黃 汝一)의 제 백암성(題 白巖城) 白石天然白帝城 (백석천연백제성) 흰 바위 천연스러운 백제성에 雲霞如幟雨如兵 (운하여치우여병) 구름 노을 깃발 같고 비는 군사인 듯 若爲借得山靈力 (약위차득산령력) 만약 산의 영험한 힘을 빌릴 수만 있다면 蕩掃南溟澈底淸 (탕소남명철저청) 남쪽 왜놈들 바닥까지 소탕하리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du603&logNo=220596702138

★ 해월유록 앨범 2020. 7. 13. 21:57

규오 (葵烏 ) 유인길(柳寅吉)선생의 해월종택 해월헌(海月軒)의 현판 : 차해월헌운(次海月軒韻)

규오 (葵烏 ) 유인길(柳寅吉)선생의 해월종택 해월헌(海月軒)의 현판 차해월헌운(次海月軒韻) 규오 (葵烏 ) 유인길(柳寅吉) 1554년(명종 9)∼1602년(선조35)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경휴(景休), 호는 규오(葵塢). 경기도 양주 출생. 아버지는 참봉 유언(柳漹)이며, 어머니는 경주이씨(慶州李氏)로 현감 이예(李禮)의 딸이다. 1589년(선조 22) 문과에 급제, 여러 요직을 거치는 동안 국가의 기강을 숙정하고 군심(君心)을 바로잡는데 힘썼다. 1592년 임진왜란 때에는 임금을 호종하였으며, 1596년과 1598년에는 함경도어사가 되어 길주·명천·경성 등지의 민심을 조사,조정에 보고하였다. 1599년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왔고, 1600년 호조참판·이조참판을 거쳐 세..

★ 해월유록 앨범 2020. 7. 13. 21:30

해월(海月)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친필 은사일록(銀槎日錄)

해월(海月)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친필 은사일록(銀槎日錄) 소장 안동유교박물관 황여일선생이 ‘종계변무(宗系辨誣)’를 위해 이항복·이정구 일행과 함께 명나라에 서장관으로 갔을 때, 오가면서 겪었던 일들을 적은 일기. 명 황제에게 보낸 정응태(丁應泰) 등의 무함(誣陷)을 논변한 주문(奏文), 사행(使行)이 직접 전한 정문(呈文), 그곳의 답문(答文), 그곳의 관리들이 취한 태도나 표정까지도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 소장 안동유교박물관

★ 해월유록 앨범 2020. 7. 13. 21:25

다산(茶山) 목대흠 (睦大欽)선생의 해월종택 해월헌(海月軒)의 현판 : 차봉판상운(次奉板上韻)

다산(茶山) 목대흠 (睦大欽)선생의 해월종택 해월헌(海月軒)의 현판 차봉판상운(次奉板上韻) 다산(茶山) 목대흠 (睦大欽) 1575(선조 8)∼1638(인조 16). 조선 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이조참판 목첨(睦詹)이며, 어머니는 증병조참판 정건(鄭謇)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01년(선조 34) 진사가 되고, 1605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607년 성균관직강(成均館直講)·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을 거쳐 사가독서(賜暇讀書)하였다. 이어 부응교(副應敎)·집의(執義)를 거쳐, 1612년 광주목사(廣州牧使)를 지내고 공조참판·우부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1624년(인조 2)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영의정 이원익(李元翼)의 종사관으로 종군하여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웠다. 1632년 예조..

★ 해월유록 앨범 2020. 7. 13. 21:2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6 7 ··· 9
다음
TISTORY
해월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綠)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