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월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綠)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해월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綠)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253) N
    • ★ 해월유록 본문 (55)
    • ★ 해월유록 요점 (438) N
    • ★ 해월유록 서문 (4)
    • ★ 해월 황여일선생의 연보(年譜) (1)
    • ★ 해월유록 앨범 (70)
    • ★ 헤월유록 YouTube (17)
    • ★ 해월선생의 시문 (183)
    • ★ 격암유록 (62)
    • ▲ 비결 원문 (92)
    • ▲ 증산상제님의 핵심 (7)
    • ■ 대순전경 (大巡典經) (26)
    • ■ 동곡비서 (銅谷秘書) (2)
    • ■ 동학가사 (83)
    • ■ 삼역대경 (三易大經) (34)
    • ■ 선정원경 (仙政圓經) (1)
    • ■ 옥산진첩 (玉山眞帖) (2)
    • ■ 용화전경 (龍華典經) (1)
    • ■ 정감록 감결 (鑑訣) (1)
    • ■ 주역 (周易) (10)
    • ■ 중화경 (中和經) (88)
    • ■ 증산천사공사기 (17)
    • ■ 천지개벽경 (17)
    • ■ 최고운결(崔孤雲訣) (1)
    • ■ 하나님 말씀 (4)
    • ● 동영상 (18)
    • ● 우리들의 이야기 (4)
    • ■ 자료실 (4)
    • ● 한 줄 메모장 (0)
    • 식단관리 (6)

검색 레이어

해월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綠)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 해월유록 앨범

  • 울진 평해황씨 해월종택 해월헌(海月軒) 안내도

    2020.07.13 by 雪中梅

  • 지봉(芝峰) 이수광(李晬光)선생의 해월종택 해월헌(海月軒)의 현판 : 차 해월헌 운(次 海月軒 韻)

    2020.07.13 by 雪中梅

  • 해월(海月)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울진 월송정(越松亭) 현판 : 제월송정 억술랑(題越松亭 憶述郞)

    2020.07.13 by 雪中梅

  • 해월헌계미일기(海月軒癸未日記)

    2020.07.13 by 雪中梅

  •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선생의 해월종택 해월헌(海月軒)의 현판

    2020.07.13 by 雪中梅

  • 평해황씨 해월종택 해월헌(海月軒) 뒤뜰의 대나무 숲

    2020.07.13 by 雪中梅

  • 해월(海月)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위패를 모신 불천위 사당 - 평해황씨 해월종택 해월헌(海月軒)

    2020.07.12 by 雪中梅

  • 봉황

    2020.07.12 by 雪中梅

울진 평해황씨 해월종택 해월헌(海月軒) 안내도

울진 평해황씨 해월종택 해월헌(海月軒) 안내도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56호로 지정되어 있다 평해황씨 해월종택 해월헌(海月軒) : 봉황이 알을 품는 형국으로 풍수학상 강릉 이남 최고의 명당

★ 해월유록 앨범 2020. 7. 13. 06:09

지봉(芝峰) 이수광(李晬光)선생의 해월종택 해월헌(海月軒)의 현판 : 차 해월헌 운(次 海月軒 韻)

지봉 이수광(芝峰 李晬光)선생의 해월종택 해월헌(海月軒)의 현판 차 해월헌 운(次 海月軒 韻) http://blog.naver.com/mjwon35 (해월 황여일의 예언 / 네이버 블로그) http://cafe.daum.net/dkdehd63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錄) http://cafe.daum.net/guriever. 해월(海月)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錄) 1624년(인조2) 이괄(李适)이 난을 일으키자 인조를 공주(公州)로 호종하고 돌아와 12조의 만언소(萬言疏)를 올려 시무책을 논하였고 1627년(인조5)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왕을 다시 강화(江華)에 호종하였습니다. 임진왜란·정묘호란 등을 치르고 광해군 때부터 인조에 걸쳐 정치적 갈등과 어지러운 정국을 겪으면서도 ..

★ 해월유록 앨범 2020. 7. 13. 05:50

해월(海月)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울진 월송정(越松亭) 현판 : 제월송정 억술랑(題越松亭 憶述郞)

해월(海月)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울진 월송정(越松亭) 현판 제 월송정 억술랑(題 越松亭 憶述郞) ✿ 평사삼십리(平沙三十里)의 신선(神仙) “해월선생께서는 평사(平沙) 삼십리(三十里)를 어떻게 설명을 하셨는지요.” 라고 하자 명산 선생은 계속 말을 이어 갔다. “해월선생문집(海月先生文集) 4권 9장 19편에, 월송정 억술랑(越松亭 憶述郞) 해객승사방월송(海客乘槎訪越松) 해객(海客)이 뗏목을 타고 월송(越松)을 찾으니, 청사수리영부용(靑蛇袖裏暎芙蓉) 소매 속의 청사(靑蛇)가 부용(芙蓉)으로 비치고, 동림벽해개은경(東臨碧海開銀鏡) 동쪽으로 임하니, 벽해(碧海)는 은빛 거울(銀鏡)을 열어 놓고, 북견령오거옥봉(北見靈鰲擧玉峯) 북쪽에는(北見) 신령한 거북(靈鰲)이 옥봉(玉峯)을 받들고 있구나. 고곽인희증조학(..

★ 해월유록 앨범 2020. 7. 13. 05:44

해월헌계미일기(海月軒癸未日記)

해월헌계미일기(海月軒癸未日記) 1. 개요[편집] 海月軒癸未日記. 조선 중기의 문인인 해월(海月) 황여일(黃汝一, 1556~1622)이 1583년 6월 1일부터 8월 25일까지 기록한 일기한국국학진흥원 2. 내용[편집] 조선 선조간찰 육지를 통한 관의 운반이 아니라 배에 실어서 운반하는 상강(喪舡)의 풍습이 기록되어 있는 최초의 일기이다. 1500년대에 저술된 치병일기로 당시 한국의 의료 상황과 장례절차에 대해 연구할 수 있는 자료이며, 당시 견현촌(犬峴村)에서 원주 제천정(濟川亭)까지의 노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 수 있는 자료이다. 이 일기를 쓴 황여일은 이 외에도 여러 관직일기, 사행일기, 종군일기를 남겼다. 해월선조일기필적(海月先祖日記筆跡), 조천일기유고(朝天日記遺藁), 은사일록(銀槎日錄), 일기초(..

★ 해월유록 앨범 2020. 7. 13. 05:38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선생의 해월종택 해월헌(海月軒)의 현판

오성 부원군(鰲城府院君)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 [1556~1618]선생의 영정(影幀)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선생의 해월헌의 현판 조선 중기 영의정을 지낸 이항복(李恒福)선생의 해월종택 해월헌(海月軒)의 현판 이항복(李恒福)[1556~1618]은 본관이 경주(慶州)이고, 자는 자상(子常)이며, 호는 필운(弼雲)·백사(白沙)·동강(東岡) 등이다. 1580년(선조 13) 알성 문과에 급제하여 1589년 예조 정랑으로 정여립(鄭汝立) 모반을 처리하였다. 임진왜란 때는 병조를 맡아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으며, 우의정·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올랐다가 오성 부원군(鰲城府院君)에 봉해졌다. 평생 청렴결백한 관리로 당파에 휩쓸리지 않았고, 문장 또한 뛰어났다. 신흠(申欽)은 이항복 신도 비명에서 “조정에 당파..

★ 해월유록 앨범 2020. 7. 13. 05:32

평해황씨 해월종택 해월헌(海月軒) 뒤뜰의 대나무 숲

평해황씨 해월종택 해월헌(海月軒) 뒤뜰의 대나무 숲

★ 해월유록 앨범 2020. 7. 13. 05:29

해월(海月)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위패를 모신 불천위 사당 - 평해황씨 해월종택 해월헌(海月軒)

해월(海月)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위패를 모신 불천위 사당 평해황씨 해월종택 해월헌(海月軒) 다음검색 저작자 표시 컨텐츠변경 비영리

★ 해월유록 앨범 2020. 7. 12. 18:42

봉황

★ 해월유록 앨범 2020. 7. 12. 18:26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3 4 5 6 7 8 9
다음
TISTORY
해월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綠)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