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afe.daum.net/dos1130 萬事已黃髮 殘生隨白鷗 雪中梅
http://cafe.daum.net/dkdehd63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錄)
http://cafe.daum.net/guriever. 해월(海月)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錄)
평해황씨 해월종택 해월헌(海月軒) : 봉황이 알을 품는 형국으로 풍수학상 강릉 이남 최고의 명당
해월선생문집(海月先生文集) 2권 28장 120편에,
조유호귀초유귀(鳥有呼歸草有歸) 삼년하사이지귀(三年何事爾遲歸)
고지미면인의신(固知未免人疑信) 영득은광칠빈귀(嬴得銀光漆鬢歸)
새(鳥)와 초(草: 不老草)가 돌아오라고 부르짖어도
어찌하여 3년을, 이와 같이 늦게 돌아오는가?
진실로 사람들이 믿지 못하는 것은,
아직도 인간의 모습을 벗지 못하였기 때문인 것을 알겠는데,
다만 몸에 은빛 광채(銀光)와 검은 머리(漆髮)가 되니, 돌아오게 되는구나. *****
우리는 해월(海月) 선생의 시(詩)에서도 앞의 격암유록(格菴遺錄) 송가전(松家田)과 같은 내용(內容)을
볼 수가 있는 것이다.
실질적으로 정도령이 세상에 나타나도 그가 보통 사람과 다름이 없고,
무엇하나더 나은 것이 없으니, 다만 말로만 이야기하여선 도무지 믿어 주지 않는다고 한 것이다.
무언가를 보여주어야만이 돌아오는 사람들인 것이다.
그런데
해월(海月) 선생의 시(詩)에서도 그렇게도 돌아오라고 울부짖는 것이 새(鳥)라고 한 것이다.
초(草: 不老草)가 또한 돌아오라고 한다는 것이다.
격암유록(格菴遺錄)은 천계성(千鷄聲)이라고도 하고, 천 마리 닭 속에 한 마리 봉황(鳳凰)이라고도 한 것이다.
또한
까마귀라고도 표현한 것이다.
까마귀란 태양을 의미하는 말이다.
옛부터 전하기를 태양 속에는 세 발 달린 까마귀가 있고, 달 속에는 두꺼비가 있다고 한 것이다.
그러나
아무리 돌아오라고 하여도 안 돌아오던 사람들이 3년이 지나면 서로 다투어 가면서 돌아온다고 한 것이다.
돌아오고 싶었었는데 못 돌아온 것이 아니라, 평범한 사람들과 다름없는 정도령이기에 믿지 못해서
안 돌아온다는 것이다.
그러나
정도령의 몸에서 은빛 광채(銀光)가 나고, 나이들어 희끗하던 머리카락이 젊은 사람의 윤기나는
머리카락으로 바뀌게 되니, 그 때서야 비로소 모두가 돌아온다고 한 것이다.
그러나
보여 주어서 따르는 것과 보지 않고 따르는 것은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그렇게 보고 믿는 사람은, 진정으로 믿는 사람이 아닌 것이다.
먼저 보여 주지 않아도 믿고 따르는 사람이 진실로 믿는 것이며, 또한 이러한 사람은 숫자가 정해져 있다는
것이다.
하나님의 능력(能力)으로 기사이적(奇事異蹟)을 보여 주어서, 안 믿을 사람이 없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참으로 믿는 것이 아닌 것이다.
먼저 보여 주지 않아도 따르는 사람이 있는데, 아무나 그렇게 쉽게 따르는 것이 아닌 것이다.
그러면 이러한 것을 보여 주고 나면 다음에는 사람들이 무엇을 어떻게 하는가?
해월선생문집(海月先生文集) 2권 14장 60편에,
촌성우국애군왕(寸誠憂國愛君王) 치택모모진일장(致澤謀謀盡一章)
성세약교인병기(聖世若敎人倂起) 야응풍채동조행(也應風彩動朝行)
조그만 성의나마 나라를 근심하고 임금을 사모하며,
나아가 하나하나 밝히는데 진력하는 것이 은혜에 보답하는 것이리라. *****
성세(聖世)에 그대로 다 드러내 밝혀지니, 사람들이 다 함께 다투어 일어나게 되며(倂起),
이에 응해서 아름답게 광채(光彩)가 드러나는 모습을 보고, 또한 사람들이 모여드는구나.
해월(海月) 선생께서 나라를 걱정하고, 임금을 사모하는 마음으로 이 모든 것을 하나하나 밝힌다고 한 것이다.
성인(聖人)의 세계(世界)에서 그대로 모두가 다 밝혀지고 사람들이 알게 되며,
다들 들고 일어나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그의 광채(光彩)가 나는 아름다운 모습을 보고는, 사람들이 다투어서 모여든다고 한 것이다.
이 돌아오는 기간이 3년이 걸린다고 한 것이다.
이 3년이라는 것은 정해진 기간이니 염두(念頭)에 두기 바란다.
다음은
격암선생일고(格菴先生逸稿)에 나오는 시(詩)인데, 격암(格菴)선생께서
효자(孝子)인 김담(金譚)이라는 사람에게 준 것이다.
『草心報得三春過 書昧淸高百世師』
초심보득삼춘과 서미청고백세사
즉
초(草: 不老草)의 마음은 삼춘(三春: 봄의 3개월 또는 3년을 뜻하는데, 이 글 속에서는 3년을 뜻함)
즉 삼년이 지나가야 판가름이 나서 깨닫게 되는구나.
이 글의 의미는 청고(淸高: 인격이 고상하고 기품이 높음)한 백세(百世)의 후세(後世)라도
나타나기를 바라던 성인(聖人)인 것이다.
그렇다면 백세(百世) 후에라도 나타나기를 바라는 성인(聖人)은 무슨 의미인가?
중용(中庸)의 29장에,
建諸天地而不悖 質諸鬼神而無疑 百世以侯聖人而不惑
건제천지이불패 질제귀신이무의 백세이사성인이불혹
質諸鬼神而無疑 知天也 百世以侯聖人而不惑知人也
질제귀신이무의 지천야 백세이사성인 이불혹지인야
하늘을 지극히 아는 데(知天)에는, 귀신(鬼神)에게 물어 보아도 의심이 없다 하고,
사람을 지극히 아는 데(知人)에는,
백세(百世) 후에 성인(聖人)을 기다린다고 해도,
미혹됨(의심할 필요)이 없다고 하였다.
즉
지천(知天), 지인(知人)에 대하여 지극히 아는 사람을 이르기를, 성인(聖人)이라고 하였다.
주자(朱子)가 이르기를,
『知天 知人 知其理也』
지천지인 지기리야
그 하늘을 알고(知天), 그 사람을 아는 것(知人)이, 그 리(理)를 아는 것이라고 하였다.
다시 말하면 많은 유학자(儒學者)들이 후일(後日)에 하늘의 천명(天命)을 받들어,
유교(儒敎)의 이상세계(理想世界)를 실현(實現)시킬 성인(聖人)이
백세(百世) 후에라도
나타나길 간절히 의심(疑心)없이 기다려 왔던 것이다.
그런데
그 백세(百世) 후에 나타난 성인(聖人)을 격암(格菴) 선생은 초(草)라고 하였으며,
또한 그 성인(聖人)을 백세사(百世師)라고 풀어 설명하였으며, 유학자(儒學者)들이
백세(百世) 후(後)에라도 나타나기를, 그렇게도 바라고 희망하던 성인(聖人)이 누구라고 밝힌 것이다.
바로
그 성인(聖人) 스스로가 천지(天地)이고, 리(理)인 것이다.
하나님의 아들인 궁을(弓乙)이 바로 천지(天地)인 것이다.
천지(天地)와 하나가 되는 성인(聖人)이고, 스스로가 리(理)이고, 도(道)인 스승(師)이라고 밝힌 것이다.
격암유록(格菴遺錄) 은비가(隱秘歌) Ⓟ58을 보면,
『全字十口入 兩弓間生 不如修道正己(草田名)』
전자십구입 양궁간생 불여수도정기 초전명
이 말은 온전하다는 전(全)은, 실은 입 구(口)자에 십(十)자를 넣은 자(字), 즉 밭 전(田)자가 된다.
또한 양궁(兩弓) 사이에 가야 산다고 하는데, 바로 그 밭(田)에 초(草)를 의미한다고 한 것이다.
즉
불로초(不老草)를 궁궁(弓弓)이라 한 것이다.
정감록집성(鄭鑑錄集成)의 《윤고산여류겸암문답(尹高山與柳謙菴問答)》과 《정류문답(鄭柳問答》에
또한 이르기를,0
『利在弓弓 窮草田 猫閣 牛之聲在野』
이재궁궁 궁초전 묘각 우지성재야
라고 하여 고산(高山) 윤선도(尹善道) 선생과 류겸암(柳謙菴) 선생의 문답(問答)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이로움이 궁궁(弓弓)에 있다고 하는데, 그 궁궁(弓弓)을 궁(窮)이라 하며, 밭에 있는 초(草)라고 하였다.
또한 묘각(猫閣: 쌀창고)이라고도 하였다.
즉 궁궁(弓弓)이신 정도령을 밭에서 나는 초(草)라고 한 것이다.
즉
이 말은 밭에서 나는 곡식을 의미하는데 특히 벼(稻)를 의미하는 말이다.
이를 간단히 표현하면 초(草), 즉 불로초(不老草)라고 하는 것이다.
바로 그 초(草)가 3년이 지나야 모든 것이 판가름나서, 사람들이 깨닫게 되어 돌아오게 되니,
그 초(草)라는 것이 청고(淸高: 인격이 고상하고 기품이 높음)의 백세사(百世師)라고 한 것이다.
격암유록(格菴遺錄) 갑을가(甲乙歌) Ⓟ116을 보면,
『天門開戶 進奠邑 地開草出 退李亡』
천문개호 진전읍 지벽초출 퇴이망
이 말은 천문(天門)이 열리니 사람이 나오는데(戶進), 그가 바로 정도령(奠邑을 합치면 鄭이 됨)이요,
땅이 열리니(地開) 나오는 것이 초(草)인데, 이 때에 물러가 망하는 것이 이(李亡)라고 하였다.
즉 땅이 열려서 나오는 것이 초(草)라고 하였다.
그가 바로 불로초(不老草)인 정도령을 의미하는 것인데, 그 초(草)가 나오니 이(李)가 물러간다고 하였다.
이(李)는 바로 이씨왕조(李氏王朝)를 뜻하는 말인 것이다.
격암유록(格菴遺錄) 해인가(海印歌) P70을 보면,
秦皇漢武求下 不老草不死藥 어데있소
진황한우구하 불로초불사약
虹霓七色 雲霧中에 甘露如雨 海印이라』
홍예칠색 운무중 감로여우 해인
즉
진시황(秦始皇)과 한무제(漢武帝)가 찾던 불로초(不老草) 불사약(不死藥)이 어디 있는가?
무지개빛 운무중(雲霧中)에 비(雨)와 같은 감로(甘露)가 해인(海印)이라고 하였다.
바로
삼풍해인(三豊海印)인 정도령을, 불사약(不死藥) 불로초(不老草)라 이른 것이다. *****
즉
초(草)라는 것이 바로 정도령을 의미하는 것이다.
좀더 깊이 이야기한다면 벼(稻)를 뜻하는 말인 것이다. *****
그러면 밝히는 마당에 좀더 자세히 밝힌다면
해월선생문집(海月先生文集) 2권 14장 60편에.
구중하처일봉개(九重何處一封開) 천자망망인자시(天自芒芒人自猜)
욕장숙계환삼대(欲將叔季還三代) 강한동류내불회(江漢東流奈不回)
천자(天子)가 계신 구중(九重)이 어디인가?
하나의 인봉(印封)을 열어보니,
하늘은 스스로 망망(芒芒)한데,
사람은 스스로 의심(自猜)하면서 미워하는구나.
장차 말세(叔季)에는 3대(三代: 堯舜禹)의 태평성대(太平聖代)가 다시 돌아오는 것을 전(傳)하여 주고자 한다.
양자강과 한수는 동쪽으로 흘러가서, 어찌해서 돌아오지 않는가?
구중(九重)은 아홉 겹으로 둘러싸여 안을 들여다 볼 수 없는 곳인데, 말하자면 임금이 계신 곳을 이르는 말이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하나님의 아들이 거(居)하는 곳을 이르는 말로, 겹겹이 알아보지 못하게 숨겨 둔 곳을,
한거풀 벗겨서 보여주겠다고 하였다.
하늘은 잠잠하여 말이 없는데, 사람들은 스스로 의심하고 미워한다는 것이다. 또한 장차 말세(末世)에는
3대가 돌아온다고 하였다.
즉
요⋅순⋅우(堯⋅舜⋅禹)의 태평세계(太平世界)가 다시 돌아온다고 해월(海月) 선생은 밝힌 것이다.
강물은 한 번 흘러가면 되돌아오지 않으나, 요⋅순(堯⋅舜)과 같은 성인(聖人)이 다스리는
시대가 다시 돌아온다는 것이다.
그러나 처음부터 그를 반겨 받아들이지는 않는 것이다.“
그러자 한 사람이 머리를 갸우뚱하며 이상하다는 듯이 질문을 하였다.
“선생님 여기서 말한 삼대(三代)란 하⋅은⋅주(夏⋅殷⋅周)가 아닙니까?”라고 하자 명산 선생은 설명을 시작하였다.
“일반적으로 3대라 하면 하⋅은⋅주(夏⋅殷⋅周)로 알고 있지만, 해월(海月) 선생께서는 성인(聖人)의 통치(統治)
시대인 요⋅순⋅우(堯⋅舜⋅禹)를 삼대(三代)로 표현하였다.
삼대(三代)에 대한 내용(內容)은
동학가사(同學歌詞) 봉명서(奉命書)에 잘 설명되어 있다.
『三代敬天 좋은禮法 春三月로 定했으니 好時節을 깨달아서
明好汕을 깨쳐보소
堯之日月 明字되고 舜之乾坤 好字되고
禹之山河 汕字되여 三代政治 깨쳤으라』 *****
또한 해월(海月) 선생의 시(詩) 속에도 나와 있다.
해월선생문집(海月先生文集) 2권 14장 60편에,
금오장마피천위(噤烏仗馬避天威) 초야봉장역가비(草野封章亦可悲)
삼대당우신성세(三代唐虞神聖世) 미문림하진위사(未聞林下進危辭)
입을 다물고 말을 하지 않으니 아! 말(馬)에 의지하고 ,어서 하늘의 형벌을 피해야 할텐데(避天威)!
초야(草野)의 백성(百姓)들이 임금에게 글을 올리지만, 가히 가슴이 아프구나.
삼대(三代: 堯⋅舜⋅禹) 즉 요순(堯舜) 시대의 신성(神聖) 세계가 돌아오는데,
어찌하여 아직도 숲 아래에 은거하여 계신 분(林下)을 찾아가서, 속히 호소하지 않는가?
여기서의 당우(唐虞)란, 당(唐)은 요(堯)임금의 호(號)이고, 우(虞)는 순(舜)임금의 호이다.
그러니 여기서의 삼대(三代)란 요⋅순⋅우(堯⋅舜⋅禹)를 말하는 것이다.
또한 말(馬)을 의지하고 하늘의 형벌(天威)을 피해야겠는데,
세상(世上) 사람들이 임금 즉 대통령에게 글을 올려 하소연하지만, 가히 마음이 아프다고 하였다.
하소연한다고 될 것 같으면야 어찌 마음이 아프겠는가?
하지만 그렇지가 않다는 것이다.
또한 우리가 믿고 의지하여야 할 것이 말(馬)이라고 한 것이다.
그런데 이 말(馬)은 아무 말도 아니하고 침묵(沈黙)하고 있으니 말이다.
격암유록(格菴遺錄) 초장(初章)의 탈루(脫漏)된 부분을 보면,
『(馬性馬性 何馬性 緘口無言 是馬性 口是禍門三寸舌 在鉗之理 眞馬性)』
마성마성 하마성 함구무언 하마성 구시화운삼촌설 재점지리 진마성
말(馬)의 성질(性質)이란 무엇을 두고 하는 말이냐 하면, 입을 다물고 말을 하지 않는 것이 말(馬)의
성질(性質)이라 하였다.
그 입이 화(禍)를 가져오는 문(門)인데, 세 치의 혀끝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입에 재갈을 물리는 이치가 있으니, 그것이 진실로 말(馬)의 성질(性質)이라고 하였다.
하나님의 아들이 드러내지 않고 입을 다물고 있으니 어디 가서 하소연해 보아도 소용이 없다고 한 것이다.
나라의 임금 즉 대통령에게 하소연해 보아도 비관적(悲觀的)이고, 뭐 이렇다할 뾰족한 방법이 없다고 했다.
하늘의 형벌(刑罰)을 피하기는 피해야겠는데 말이다.
틀림없이 요⋅순(堯⋅舜) 시대와 같은 신령(神靈)스럽고 거룩한 세상(世上)이 와야 하는데,
답답하니까 해월(海月) 선생이 가르쳐 주는 것이다.
그 곳이 어디인가 하면, 나무 숲이 있는 그 아래에 청림도사(靑林道士)인
정도령 즉 말(馬)이 은거(隱居)하고 있으니, 속히 나아가서 찾아 호소하라고 한 것이다.
아주 정확히 가르쳐 주는 것이다.
가르쳐 주는 김에 더 가르쳐 주겠다.
또한
경고(鏡古) 속에 수록된 태조여함부림 정도전문우무학(太祖與咸傅霖 鄭道傳問于無學)편을 보면,
『先生道詵有言曰......
선생도선유언왈
欲免此塗炭 莫如石井崑 及其時 君臣早 歸石井崑 則免禍
욕면차도탄 막여석정곤 급기시 군신조 귀석정곤 즉면화
愼哉 石井崑 末難知 寺畓七斗落 一馬上下川路 尋石井崑』
신재 석정곤 미난지 사답칠두락 일마상하천로 심석정곤
무학대사(無學大師)가 도선국사(道詵國師)의 말을 인용하여......,
도탄(塗炭)을 면(免)할려면 석정곤(石井崑)보다 더 좋은 것이 없으며, 그 때에는 군신(君臣)들이
석정곤(石井崑)에게로 빨리 돌아온즉 진실(眞實)로 화(禍)를 면한다.
사답칠두락(寺畓七斗落: 北斗七星이며 文武星)이며, 일(一: 太乙)인 말(馬) 즉 천마(天馬)가 하늘로부터
땅으로 내려와서는, 천(川)이라는 곳으로 갔으니, 이 천(川)이라는 곳에서 석정곤(石井崑)을 찾는다면
어렵지가 않을 것이라고 하였다.
다시 말하자면 태을(太乙: 一)인 천마(天馬)가 간 곳이 인천(仁川)이라는 것이다. *****
격암유록(格菴遺錄) 말운론(末運論)32에,
牛性農夫(우성농부) 石井崑(석정곤) 我邦之人(아방지인) 君知否(군지부)
欲識蒼生桃源境(욕식창생도원경)
曉星平川照臨(효성평천조림)
非山非野十勝論(비산비야십승론)
忽伯千艘何處地(홀백천소하처지)
牛性在野豫定地(우성재야예정지)
人心變化十勝論村(인심변화십승론촌)
우성(牛性)이란 농부(農夫)를 뜻하며, 또한 석정곤(石井崑)이라고 하는데,
우리나라 사람으로 우리의 임금인데도, 사람들이 통 알지를 못하는구나.
창생들이 도원경(桃源境)을 알고자 한다면,
새벽별(曉星)이 비치는 곳이
인천(仁川)과 부평(富平)사이인데(曉星平川照臨),
이곳을 도원경(桃源境) 이라고도 하며 비산비야(非山非野)라고도하는 십승(十勝)이 있는 곳인데,
홀연히 천척의 배(千艘)가 모여 들기로 예정(豫定)되어 있는 곳이며
또한
우성(牛性)이 들에 있다는 (牛性在野)말이, 예정되어있는 곳이 바로 이곳이리고 한다(豫定地) .
격암유록(格菴遺錄) 도부신인(桃符神人) P102에 보면,
『儒彿仙運 三合一의 天降神馬 彌勒일세 馬姓鄭氏 天馬오니
유불선운 삼합일 천강신마 미륵 마성정씨 천마
彌勒世尊 稱號로다 天縱大聖 鷄龍으로 蓮花世界 鄭氏王을
미륵세존 칭호 천종대성 계룡 연화세계 정씨왕
平和象徵 橄柿字로 柿謀者生 傳했다네』
평화상징 감시자 시모자생 전
유불선(儒佛仙)의 합일(合一), 즉 전세계 종교(宗敎)를 합일(合一)하기 위해,
하늘에서 신마(神馬)인 미륵(彌勒)이 내려온다는 것이다.
그 마성(馬姓)인 당나귀 정씨(鄭氏)는 인간(人間) 정씨가 아니라,
천마(天馬)인 바로 미륵세존(彌勒世尊)의 칭호(稱號)라 한 것이다. *****
다시 말하면
정감록에서 말하던 정도령이며, 불교(佛敎)에서 기다리는 미륵불(彌勒佛)이며,
기독교(基督敎)에서 말하는 구세주(救世主)인 것이다.
연화세계(蓮花世界)의 왕(王)인 하나님의 아들을, 평화(平和)의 상징으로 감(람)나무라고 하였는데,
이 감(람)나무을 따르는 자는 산다고 전하는 것이다. *****
또한
격암(格菴) 선생의 마상록(馬上錄) P404를 보면,
小舍吉 小星 最吉 世人但知托國 不知桃源里
소사길 소성 최길 세인단지탁국 부지도원리
이 말의 뜻은 가장 좋은 곳은 길성(吉星)이 비치는 곳인데,
바로 아기장수인 정도령이 계신 도원리(桃源里)라고 했다.
[도원(桃源)이란 무릉도원(武陵桃源)의 약자인데 선경(仙境) 별천지(別天地)을 의미하는 말로
신선(神仙) 즉 정도령이 계시는 곳을 뜻한다]
그러나
세상 사람들이 정도령이 있는 도원리(桃源里)를 전혀 알지 못하고,
오로지 나라에만 의지(托國)하는구나 라고 하였다.
격암유록(格菴遺錄) 초장(初章) 탈루(脫漏)된 부분에,
『鳥性鳥性 何鳥性 世事無慮 足鳥性
조성조성 하조성 세사무려 족조성
叢林宿鳥 下疎籬 彼枝此枝 眞鳥性』
총림숙조 하소리 피지차지 진조성
새의 성질(性質)이란 무엇인가? 세상일에 아무런 걱정이 없는 것이 새의 성질(性質)인 것이다.
숲이 우거진 곳에 새가 머물고 있는데, 그 숲 아래에 성긴 울타리가 있는 집이다.
이 가지 저 가지 사이에서 숲을 떠나지 않는 것이 새의 성질(性質)이다 라고 하였다.
정도령을 말(馬)과 새(鳥)에 비유하여 설명하고, 그가 어디에 있는지를 밝히는 글인 것이다.
즉 그가 은거(隱居)하고 있는 곳은, 숲이 우거진 곳의 아래쪽에, 엉성한 울타리를 하고 있는 곳에서,
아무런 걱정없이 오랫동안 은거(隱居)하여 조용히 있다고 친절히 설명한 것이다.
그러면 앞으로 무엇을 어떻게 하게 되는가?
해월선생문집(海月先生文集) 2권 2장 6편에,
소대무유언(昭代無遺彦) 중림불견인(中林不見人)
금구영무결(金甌永無缺) 군책뢰미륜(羣策賴彌綸)
세상(世上)을 잘 다스릴 어진 선비(彦)가 어찌 없겠는가?
숲속에 있는데, 사람들이 그를 알아보지 못하는구나.
영원히 다른 나라의 지배를 받지 않는, 흠이 없는 완전무결한 나라가 되는데,
수많은 계책을 아이인 미륵에게 의뢰하니,그 아이가 잘 다스리게 되는구나.
금구무결(金甌無缺)이란
튼튼하고 완전하게 조금도 흠이 없는 황금단지인데,
나라의 국세(國勢)가 금(金)으로 만든 사발과 같이 완전하고 견고하여 다른 나라의
모욕이나 침략을 받지 아니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그러니까
「외모(外侮)를 받지 않는 완전무결한 국가」에 비유하는 말인 것이다.
이러한 나라를 만드는 사람이 누구인가?
이 시(詩)에서 미(彌)라 하였다. 미륵불(彌勒佛)인 것이다.
또한
이 미(彌)자는 어린아이라는 뜻이 있는 것이다.
미륵(彌勒)이란 용어(用語)속에는, 아이가 미륵불(彌勒佛)이란 뜻을 포함하고 있다.
그래서 격암유록(格菴遺錄)에서도 미륵불(彌勒佛)이 정도령이며,
정도령의 성(姓)이
마성(馬性) 정씨(鄭氏)라 하여, 정도령을 마방아지(馬枋兒只)라 한 것이다.
마굿간 아기라면 누구를 두고 이야기하는지 말하지 않아도 쉽게 알 수 있는 것이다.
성경 다니엘 2장 44절을 보면,
이 열왕(列王)의때에
하늘의 하나님이 한 나라를 세우시리니 이것은 영원(永遠)히 망(亡)하지도 아니할 것이요
그 국권(國權)이 다른 백성(百姓)에게로 돌아가지도 아니할 것이요
도리어 이 모든 나라를 처서 멸(滅)하고 영원(永遠)히 설 것이라 *****
성경에도 같은 내용(內容)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러한 나라를 만드는 사람이 선비로, 숲속에 은거(隱居)하고 있지만
사람들이 잘 알 수 없는 분이라 했다.
다음은
퇴계(退溪) 이황(李滉,1501~1570)선생의 퇴계결(退溪訣)을 보면,
欲識人間 生活處 叢林飛鳥 下疏離
욕식인간 생활처 총림비조 하소리
사람들이 생활처(生活處)를 알고자 한다면, 숲이 우거진 곳애 새가 날아서
그 숲 아래에 머무르니,그 성긴 울타리로 된 집이 있구나.
이와 같이 퇴계(退溪)선생도, 격암(格菴)선생과 같은 말을 전하는 것이다.
사람들이 살아가는 방도를 찾으려면,
숲이 우거진 아래에, 엉성한 울타리에 은거(隱居)해 있는 사람을
찾아가라고 충고하는 것이다.
격암유록(格菴遺錄) 길지가(吉地歌)P68에,
聖山聖地 平川間에 甘露如雨 心花發을 馬而啼啼 不知此岸
성산성지 평천간에 감로여우 심화발을 마이제제 부지차안
鳥而呌呌 不知南之北之 牛而鳴鳴 不知牛性馬性
조이규규 부지남지북지 우이명명 부지우성마성
하나님의 아들 정도령이 계신 성산성지(聖山聖地)가 부평(富平)과 인천(仁川)사이인데,
이 감로(甘露)가 내려서 사람의 마음을 꽃과 같이 피게 하는 곳으로,
말(馬)이 울고 있는 곳이 바닷가 언덕(岸)인데도, 어찌하여 알지 못하는가?
새(鳥)가 울고 있는데, 우는 곳이 남한의 북쪽으로, 이곳을 알지 못하는구나.
소(牛)가 울고 울어도, 무엇이 우성(牛性)이라고 하는지, 마성(馬性)이라고 하는지 모르는구나.
라고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정도령이 있는 곳이 성산성지(聖山聖地)인 부평(富平)과 인천(仁川)사이인데.
이 곳은 남한의 북쪽(南之北)으로 바닷가가 있는 언덕(岸)인데, 바로 이 곳에 정도령을 말(馬),
산의 새(山鳥)와 또한 소(牛性)라는 말로 표현하여서는 이 곳에 머물고 있다고 한 것이다.
또한 이것을 두고 예부터 전해오는 길지(吉地)라고 한 것이다.
(해월유록P377~389)
불사약(不死藥) 불로초(不老草)...(7-5)...해월(海月)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錄) (0) | 2020.08.27 |
---|---|
불사약(不死藥) 불로초(不老草)...(7-4)....해월(海月)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錄 (0) | 2020.08.26 |
불사약(不死藥) 불로초(不老草)...(7-2)....해월(海月)황여일(黃 汝一)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錄) (0) | 2020.08.22 |
불사약(不死藥) 불로초(不老草)...(7-1)....해월(海月)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錄) (0) | 2020.08.19 |
한(漢)이란 말은 하나님 아들의 함자 중에 하나인 것이다...해월(海月) 황 여일(黃 汝一)선생의 해월유록 (0) | 2020.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