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산(薑山) 이서구(李書九) 선생님의 비결
1) 강산 이서구(李書九, 1754~1825)
조선 후기의 문신(文臣)?시인(詩人)?학자(學者). 본관은 전주(全州). 자(字)는 낙서(洛瑞), 호(號)는 척재(?齋)?강산(薑山)?소완정(素玩亭)?석모산인(席帽山人). 아버지는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 영의정을 증직(贈職)받은 원(遠)이며, 어머니는 정경부인(貞敬夫人)을 증직받은 평산신씨(平山申氏)로 부사(府使) 사관(思觀)의 딸이다.
서기 1754(영조 30, 甲戌)년에 태어나 서기 1758(영조 34)년 나이 5세 때 어머니를 여의었고, 계비(繼?)는 진주이씨(晋州李氏)로 한복(漢復)의 딸이며 역시 정경부인이 되었다.
외할머니에게서 자랐으며, 외숙으로부터 당시(唐詩)??사기(史記)???통감(通鑑)? 등을 배웠다. 외가에서 7년을 지내고 12세가 되던서기 1765년 아버지에게 돌아와 여러 경전(經典)을 읽기 시작 하였다. 16세부터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을 만나 문장을 배우기 시작하였고, 서기 1770년에는 귀양에서 돌아온 아버지를 잃었다. 이때까지 일정한 스승이 없이 시문(詩文)과 금석(金石)?육서(六書) 등을 읽다가, 21세 되던 서기 1774(영조 50)년 가을 갑오(甲午) 정시(庭試) 병과(丙科)에 제11인으로 뽑혔고, 10월에 섭기주(攝記注?종6품)로 첫 벼슬을 받았다. 22세 때인 서기 1775(영조 51)년부터 5, 6년간은 오로지 학문에만 뜻을 두고, 특히 사서(史書)를 탐독 하였다. 1785(정조 9)년에 시강원(侍講院) 사서(司書?정6품), 서기 1786(정조 10)년에 홍문관(弘文館) 교리(敎理?정5품)를 사헌부(司憲府) 지평(持平?정5품)?승정원(承政院) 승지(承旨?정3품)?전라도관찰사(종2품)?사간원(司諫院) 대사간(大司諫?정3품)?이조판서(정2품)?사헌부(司憲府) 대사헌(大司憲?종2품)을 거쳐 한성부 판윤(漢城府 判尹?정2품)?평안도관찰사(종2품)?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종1품) 등의 벼슬을 하며 임금의 총애를 받았다. 문자학(文字學)과 전고(典故)에 조예가 깊고 글씨에 뛰어났다. 왕명(王命)으로 ?장릉지(莊陵誌)?, ?춘추(春秋)?,?정조실록(正祖實錄)? 등의 편찬에 참여했다. 명문장가로서 특히 시명(詩名)이 높아 박제가(朴齊家)?이덕무(李德懋)? 류득공(柳得恭)과 함께 조선 후기 사가시인(四家詩人)으로 알려졌으며, 사가시인 중에서는 유일한 적출(敵出)이었고,벼슬도 순탄하게 올라갔다. 그러나 어려서 어머니를 여읜 외로움이 일생동안 영향을 미쳤고, 벼슬보다는 은거(隱居)에 미련을 가졌으며, 아들이 없음과 늙어감과 벼슬을 한 일, 이 세 가지를 평생의 한으로 여겼다. 한번도 연행(燕行)길에 오르지는 않았으나, 홍대용(洪大容)과 박지원의 문하에 출입하면서 이덕무?류득공?박제가 등 실학파 문사(文士)들과 사귀며 학문과 문학을 연마하고 시국을 논하였으므로, 자연히 독창과 개성, 현실문제, 조선의 역사와 자연에 대한 관심을 표현하는문학을 하게 되었다.
22세 때에 이덕무 등과 함께 ?한객건연집(韓客巾衍集)?에 참가함으로써 사가시인 또는 실학사대가(實學四大家)라는 칭호를 얻게 되었다. 시(詩)는 개인적 성향관계로 혁신적이거나 현실에만 치우치기보다 온유돈후(溫柔敦厚)하고 사색적이며, 고묘(高妙)한 정신세계를 표현하고 있는 것이 많다. 고요하고 아름다운 자연세계와 고귀한 내면의 깊이를 아울러 그려냄으로써 시의 격조를 높이는데 힘썼다. 시호(諡號)는 문간(文簡). 서기 1825(순조 25, 乙酉)년에 우상(右相?정1품)을배(拜)하여 여러번 불렀으나 마침내 일어서지 않음. 그해 영평(永平)에서 졸(卒)하니 추탈(追奪)후 신설(伸雪)함. 서(書)에 공(工)하고 저서(著書)에 ?강산초집(薑山初集)?, ?척재선생집(?齋先生集?이 전하고, ?여지고(輿地考)?, ?규장전운(奎章全韻)?을 찬수(簒修)하고 ?존주휘편(尊周彙編?, ?장능사보(莊陵史補)?를 편수(編修)하였다.
2) 이서구 비결
世事琴三尺 生涯酒一盃 無文發達一不知 세사금삼척 생애주일배 무문발달일부지
峯頭捲見日 何處是長安 無君泰平二不知 봉두권견일 하처시장안 무군태평이불지
胡地無花草 春來不似春 無花江山三不知 호지무화초 춘래불사춘 무화강산삼불지
※ 이백(李白), 왕소군(王昭君)中에서
春水滿四澤 夏雲多奇峯 無豊多穀四不知 춘수만사택 하운다기봉 무풍다곡사불지
※ 도연명(陶淵明)의 사시(四詩)中에서
孤舟蓑笠翁 獨釣寒江雪 無文道通五不知 고주사립옹 독조한강설 무문도통오부지
※ 유종원(柳宗元) 강설(江雪)中에서
可憐江浦望 不見洛橋人 無病急死六不知 가련강포망 불견낙교인 무병급사육부지
千山鳥飛絶 萬逕人踪滅 無軍對敵七不知 천산조비절 만경인종멸 무군대적칠부지
壬午世事 日語 임오세사 일어
癸未 代命 계미 대명
甲申年事 倭伊 갑신년사 왜이
乙酉 傷死多 을유 상사다
丙戌年間 濟世雄 造化無窮 병술년간 제세웅 조화무궁
丁亥 到日亡 정해 도일망
戊子 千兵萬馬 무자 천병만마
甲午 臘月間 眞主渡錦江 갑오 납월간 진주도금강
辰巳 事可知 진사 사가지
午未 樂堂堂 오미 낙당당
3) 궁궁(弓弓) 해의(解意)
鳴牛聞聲不見地 有鳥不移南北枝 명우문성불견지 유조불이남북지
4) 이강산(李薑山) 서구결(書九訣) 칠언시(七言詩)
日乘靑馬渡江來 李花落盡白狗身 일승청마도강래 이화낙진백구신
二七年間無主民 皆爲僧孫不知佛 이칠년간무주민 개위승손부지불
無根無實名敎道 朝消暮起倫綱絶 무근무실명교도 조소모기윤강절
蜈蚣往來無江山 九洲同伴大醉客 蜈(오)지네. 蚣(오)지네 오공왕래무강산 구주동반대취객
擧世推鑑先動亡 是以難尋中動興 거세추감선동망 시이난심중동흥
秘密浮荒反未信 末動未及由三徑 비밀부황반미신 말동미급유삼경
海外一桃有誰知 善竹橋上節祀孫 해외일도유수지 선죽교상절사손
長城海外伴元曉 引率神兵踏宇宙 장성해외반원효 인솔신병답우주
天文術書從何來 黃梁房杜出洞時 * 천문술서종하래 황양방두출동시
天機漏泄禍及身 秘傳於我六世孫 천기누설화급신 비전어아육세손
5) 우사언(又四言)
鼠未出穴 牛鳴不聞 虎嘯秋山 卯脫跳揚 跳(도) 뛸. 서미출혈 우명불문 호소추산 묘탈도양
神驪脫形 午端?揚 曰朱曰? 佐理功高 신려탈형 오단척양 왈주왈훼 좌리공고
莫誇巾隱 一夜燒盡 富不貪堅 須從先覺 막과건은 일야소진 부불탐간 수종선각
.
6) 이서구씨 비결
東方日出西山沒 午未生光申酉移 동방일출서산몰 오미생광신유이
羊觸秋藩誰敢禦(能解) 猿啼(登)春樹鬼難(不)知 양촉추번수감어(능해) 원제(등)춘수귀난(부)지
一天風雨鷄鳴夜 萬國腥塵我國頭(犬吠時) 일천풍우계명야 만국성진아국두(견폐시)
欲識人間生活處 叢(鬱)林飛鳥下疎籬 * 욕식인간생활처 총(울)림비조하소리
一馬二羊笑且啼 可憐人事日斜西 일마이양소차제 가련인사일사서
方方谷谷東南畝 乙乙弓弓腹背堤 방방곡곡동남무 을을궁궁복배제
猿嘯聲初風正急 鷄鳴時到雨何凄 원소성초풍정급 계명시도우하처 .
若厭貧窮從富貴 未着黑土死無棲 약염빈궁종부귀 미착흑토사무서
拜北黃河上帝門 蠻戎世界憤心言 * 배북황하상제문 만융세계분심언
雷電冬臘天機變 雨雪江山地理飜 * 뇌전동납천기변 우설강산지리번
五百餘年星斗眺 文章大海月宮源 * 오백여년성두조 문장대해월궁원
明倫禮儀時中執 赤日東南聖道元 * 명륜예의시중집 적일동남성도원
非無聖主歲凶憂 各國風塵我國頭 비무성주세흉우 각국풍진아국두
讀進春秋思闕里 隱居日月意滄海 * 독진춘추사궐리 은거일월의창해
忠言企望新恩澤 義理難忘正道? * 충언기망신은택 의리난망정도주
時節陰陽時有變 觀天察地善家謀 * 시절음양시유변 관천찰지선가모
招竹寧衰烈士貞 泥塗轉玉古眞情 초죽영쇠열사정 니도전옥고진정
萬事無心秦世業 一生盡力魯時明 만사무심진세업 일생진력노시명
善宅良人餘有慶 靑天白日正分明 * 선택양인여유경 청천백일정분명
願爲詩冠滄溟闊 喚崔月鳴鼓吹聲 원위시관창명활 환최월명고취성
餓荒兼備二年間 峽裡生涯暫不閑 아황겸비이년간 협리생애잠불한
對客常憂無供饋 逢惠先拍語辛艱 대객상우무공궤 봉혜선박어신간
酒唯減却平時糧 形亦依佈去歲顔 주유감각평시량 형역의포거세안
可惜文章無暇日 鳥啼花落任空山 가석문장무가일 조제화락임공산
7) 재앙을 피하는 방법
避禍之方 巽方最吉 艮方次吉 莫向雙綠山 須從三扉門 * 피화지방 손방최길 간방차길 막향쌍록산 수종삼비문
富先亡 謀先亡 半倭先亡 豕登木 事在豕後脚 부선망 모선망 반왜선망 시등목 사재시후각
已上危姓云何一 自此以下是可談 이상위성운하일 자차이하시가담
8) 팔부지시 및 팔급시(八不知詩及八急時)
갑신(甲申)
世事琴三尺 生涯酒一盃 세사금삼척 생애주일배 無文多士(一本發達)一不知 渡江弟子尋鄕急 무문다사(일본발달)일부지 도강제자심향급
을유(乙酉) 宜此欄在上句節 의차란재상구절
병술(丙戌) 擧頭惟見月 何處是長安 거두유견월 하처시장안 無君天地(一本泰平)二不知 鼠入鷄時退官急 무군천지(일본태평)이부지 서입계시퇴관급
정해(丁亥) 胡地無花草 春來不似春 호지무화초 춘래불사춘 無花江山三不知 禍及富人施惠急 무화강산삼불지 화급부인시혜급
무자(戊子) 春水滿四澤 夏雲多奇峰 춘수만사택 하운다기봉 無穀豊登四不知 誦經斷絶讀書急 무곡풍등사불지 송경단절독서급
기축(己丑) 可憐江浦望 不見洛橋人 가련강포망 불견낙교인 無軍接戰五不知 兵火連天圖命急 무군접전오불지 병화연천도명급
경인(庚寅) 千山鳥飛絶 萬逕人跡滅 無病致死六不知 貪無忌已修身急 천산조비절 만경인적멸 무병치사육불지 탐무기이수신급
신묘(辛卯) 鷄鳴秋夜月 吹簫散殘兵 無物勝地七不知 有意男兒出世急 * 계명추야월 취소산잔병 무물승지칠불지 유의남아출세급
임진(壬辰) 孤舟蓑笠翁 獨釣寒江雪 龍飛馬嘶登位急 無學道通八不知 * 고주사립옹 독조한강설 용비마시등위급 무학도통팔불지
계사(癸巳) * 갑오(甲午) 을미(乙未) 士移射男邦不知 사이사남방불지
9) 팔부지시(八不知詩)②
無君太平一不知 擧頭惟見日 何處是長安 무군태평일불지 거두유경일 하처시장안 .
無文多士二不知 世事琴三尺 生涯酒一杯 무문다사이부지 세사금삼척 생애주일배
無穀?年三不知 春水滿四澤 夏雲多奇峰 무곡풍년삼부지 춘수만사택 하운다기봉
無花江山四不知 胡地無花草 春來不似春 무화강산사부지 호지무화초 춘래불사춘
無戟戰爭五不知 可憐江浦望 不見洛橋人 무극전쟁오부지 가련강포망 불견낙교인
無名?疾六不知 千山鳥飛絶 萬逕人?滅 무명학질육부지 천산조비절 만경인종멸
無人天地七不知 蕭蕭楚客帆 暮入漢江水 무인천지칠부지 소소초객범 모입한강수
無書道通八不知 孤舟?笠翁 獨釣寒江雪 무서도통팔부지 고주사립옹 독조한강설
孔氏遺風安在哉 四維三綱衰今 공씨유풍안재재 사유삼강쇠금
所見所指眞可畏 擧世諸人那無目 소견소지진가외 거세제인나무목
出乎爾者反乎爾 積害之心勿守 출호이자반호이 적해지심물수
??胥讒終不忍 一家之人不和 견견서참종불인 일가지인불화
瞻彼人間修道士 但求淸心黑吐 첨피인간수도사 단구청심흑토
永世花長乾坤位 大邦日出艮兌宮 영세화장건곤위 대방일출간태궁
水水山山蓋皆知 山水配合誰能知 수수산산개개지 산수배합수능지
一樹花開萬邦源 秋月江山二七火 * 일수화개만방원 추월강산이칠화
鏡投萬里眸先覺 月上三更意勿開 경투만리모선각 월상삼경의물개
淸風明月金山城 萬國活計南朝鮮 * 청풍명월금산성 만국활계남조선
心臟天道精神月 事統萬邦變化雲 심장천도정신월 사통만방변화운
10) 팔급시(八急詩)
渡江子弟歸來急(一云還家急) 出世男兒濟家急 도강자제귀래급(일운환가급) 출세남아제가급
富不得人(一云富仁欲得)散財急 貧(一云賢)多亡身修心急 부불득인(일운부인욕득)산재급 빈(일운현)다망신수심급
絃誦廢(一云篇)絶讀書急 疾病流行求藥急 현송폐(일운편)절독서급 질병유행구약급
鷄鳴狗吠退敵急 龍起馬嘶卽位急 * 계명구폐퇴적급 용기마소즉위급
|